티스토리 뷰

코스피 지수가 2150을 돌파했다. 

 

V자 반등은 없다. 

대공황보다 더 한 위기를 준비해야 한다. 

유가는 20불을 넘기기 힘들다. 

디플레이션 공포를 준비해야 한다. 

전문가들이 예측한 내용이다. 

주식 전문가가 아니라 소설 전문가들이었다. 

도대체 부끄러움은 누구의 몫인지.


공매도 금지기간

2020년 3월 16~ 2020년 9월 15일까지 6개월간이며,

과도한 공매도로 인한 주가 하락 방지와 시장의 유동성 확대를 위해 시행했다. 

예외로는 유동성 공급자와 시장 조성자의 경우 허용했다. (증권사, LP 등)

 

 

주가가 오른 원인은 무엇일까?

단순하게 생각해보자. 

수요와 공급의 원리와 정책의 변화를 들 수 있다.

  1. 부동산 규제 정책으로 자금이 주식시장으로 흘러들어 갔다.
  2. 기업의 가치는 조금 변했는데 주가는 일시적으로 크게 하락 해서 밸류에이션 매력이 커졌다. 
  3. 주가 하락시 돈을 벌 수 있는 공매도 기능이 일시적으로 정지된 상태이다.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 

1. 부동산 규제 정책의 기조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본다.

   아파트가 전부는 아니겠지만 적어도

   아파트 갭투자로 돈 벌기는 점점 어려워질 것이다. 

 

2. 코로나19로 떨어졌던 주가들이 거의 다 회복했다. 

   일부 회복하지 못한 업종이나 개별 종목을 빼고는 매력이 많이 떨어졌다. 

   (건설, 금융, LG전자ㅠㅠ)

 

3. 공매도 금지는 9월 15일 까지다.  

   공매도 금지기간이 연장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공매도 금지가 풀린다면? 

공매도 금지기간이 풀리면 공매도가 가능해지고 

꽤 많은 종목들이 주가 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다. 

난 언제 팔고 튀어야 하나? 

자 이제부터 게임을 시작하지. 

눈치 게임 시작이다. 

 

대한민국은 역대 2번의 공매도 금지이력이 있으며

이 기간 이후의 주가를 살펴보자. 

 

1.

2008.10.01 ~ 2009.05.31 [글로벌 경제 위기]

공매도 금지기간과 그 이후 코스피 지수

어라. 공매도 금지 풀리면 주가가 하락할거 예상했는데

쭉 올라갔다. 

 

2. 

2011.08.10 ~ 2011.11.09 [유럽 재정위기]

공매도 금지기간과 그 이후 코스피 지수

3개월간으로 기간이 짧았는데 

공매도 금지기간 동안 상승하고 이후 약간 하락했다. 


과거에 공매도 금지 풀린다고 하락으로 이어지는 않았다. 

내 예측은 위로는 못가고 옆으로 횡보할 거 같다. 

예측이 그렇다는 거고,

 

주식 투자를 하던지 

자동차 운전을 하던지 

중요한 것은

예측 보다는 대응이다. 

 

하락장이 바로 오지 않는다면

배당주 투자를 계속해서 해를 넘겨 주식을 보유할 생각이고

바로 하락장이 온다면

수익률이 낮은 순서대로

50~70%씩 매도 대응전략을 세워본다. 

 

3개월 뒤 주가가 어디로 튈지 궁금한 밤이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